3월 7일은 참치데이로 참치를 저렴하게 즐기는 날이다. 3월 7일이 되면 마트 및 백화점에서 참치회 할인 이벤트를 하곤 한다. 돌아오는 3월 7일에는 어떤 맛있는 참치가 기다리고 있을까?
3월7일 참치, 삼치데이 유래
삼월 칠일의 발음이 참치, 삼치와 발음이 비슷하여 이것을 착안해서 해수부와 한국원양산업협회가 참치데이를 만들어서 국내 참치 산업의 부흥과 발전을 기념하고 있다. 참치데이인 3월 7일이 되면 사조 시푸드 등 여러 참치 업체 및 마트에서 다양한 참치들을 저렴한 가격에 판매한다.
참치의 뜻
고등어목 고등엇과의 다랑 어족에 속하는 어류들의 총칭이다. 다랑어를 참치라고 부른다. 다랑어는 분포 수역에 따라 열대성 다랑어, 온대성 다랑어로 나뉘는데 일반적으로 열대성 다랑어에는 가다랑어, 눈다랑어, 황다랑어가 속하고, 온대성 다랑어에는 참다랑어, 날개다랑어 등이 속한다.
참치의 특징
- 최대 몸길이 3 m, 몸무게 약 300 kg 내외까지 성장하며 일반적 300 kg을 넘는 참치도 있다.
- 등 쪽의 짙은 푸른색과 중앙과 배 쪽 은회색 바탕에 흰색 가로띠와 둥근 무늬가 있다.
- 대만/홍콩 근해인 남중국해에서는 4~6월, 한국 동해에서는 8월에 산란하며 한다.
- 태평양 · 대서양 · 인도양의 열대 · 온대 · 아한대 해역의 표층 수역에서 서식한다.
참치의 명칭 유래
참치라는 이름의 기원을 두고 아래와 같은 여러 설들이 있었다. 국내 대표 참치 원양 기업인 동원산업의 설명에 따르면 1957년 국내에 참치가 처음 들어왔을 때는 진 치라고 불렸다. 참다운 물고기라는 뜻으로 진짜 맛있는 물고기라는 명칭이다. 이후 어감상의 이유로 참치로 변형되었고 진치에서 참치로 바뀌어 알려져 있다.
참치와 이승만 대통령의 유래
동원산업 홈페이지 이승만과 관련된 일화가 있다. 이승만 대통령이 수산계 간부와 자리를 같이 하면서 참다랑어의 이름을 묻자 간부가 앞의 '참'은 기억나는데 뒤가 기억이 나지 않아서 머릿속으로 '참... 참... 참...' 하고 있다가 꽁치, 갈치 등이 생각나서 그대로 이름을 참치라고 불렸다는 유래가 있다.
허영만 화백의 참치 유래
허영만 화백은 허영만의 일본 찔러보기에서 원양어선 업자들이 마구로를 잡으러 간다고 하자 마구로의 마를 眞(참 진)으로 오인하여 참치라 기록했다는 설을 제시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