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 건강에 좋은 것은 건강하게 식단을 하는 것입니다. 체중 조절과 혈압관리 등 심장에 영향을 주는 콜레스테롤 농도 등의 관리는 정말 중요합니다. 심장 건강에 좋은 식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과일과 채소 먹기.
매일 과일과 채소를 먹는것은 심장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과일과 채소는 비타민과 미네랄이 높으며 지방 함량이 낮아 건강에 매우 좋습니다. 통조림이나 조리된 과일, 채소보다는 신선한 상태로 먹는 것이 더 좋습니다. 과일의 경우도 시럽이나 설탕이 들어간 제품은 피하고 과일 그대로 먹는 것을 추천합니다.
저지방 식단 짜기
저지방 식단은 동맥과 심장보호에 도움이 됩니다. 고지방 식품을 많이 먹게되면 비만의 위험이 증가하고 고혈압과 심장 질환, 심장마비 등을 유발합니다. 지방식품은 되도록 적게 먹는 것이 중요한데 지방은 혈중 콜레스테롤을 높이고 심장 질환에 걸릴 확률을 높이기 때문입니다.
저지방 고기 많이 먹기.
저지방 고기를 많이 먹는것은 건강에 좋습니다. 붉은 육류를 피하고 붉은 육류의 고기를 먹더라도 지방을 잘라내고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붉은 육류의 고기들은 지방과 콜레스테롤이 많아 동맥에 침착되어 고혈압과 심장 질환, 심장 마비의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통곡물 섭취.
통곡물은 가공을 거친 흰빵과 쌀에 비해 영양분을 더 많이 함유하고 있습니다. 통곡물을 섭취하면 식사량을 줄이는데 도움을 주고 쌀 대신 현미와 같은 통곡물이 섭유질 섭취에 도움이 됩니다. 통곡물은 포만감도 뛰어나고 식이섬유가 높아 배변활동에도 도움을 줍니다.
설탕이 들어간 음식 줄이기.
설탕은 칼로리가 높으면서 영양분과 섬유질 수치가 낮습니다. 설탕이 많이 들어간 음식을 먹게되면 과식을 하게 되고 과식은 비만으로 이어집니다. 가공된 설탕의 섭취가 증가하면 심장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낳습니다. 간식을 먹더라도 양을 줄이고 설탕이 들어가지 않는 음식을 먹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저염분 식단하기.
염분이 높은 식사를 할 경우 혈압이 높아지고 심장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되도록 심심하게 음식을 조리하여 먹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짜게 먹을수록 몸에 염분의 수치를 높이고 혈압을 올리기에 몸에 악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