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및 각종 경제

자취방과 원룸 그리고 고시원 자취생들이 받을 수 있는 월세 소득공제.

by vvkgkg%,$# 2022. 8. 7.
728x90

자취방과 원룸 그리고 고시원에 사는 자취생들이 받을 수 있는 월세 소득공제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월세 소득공제.

자취방, 원룸, 고시원에 사는 자취생분들이 최대 72만 원까지 환급받을 수 있는 월세 소득공제는 세금 부과 대상인 소득 중에 일정 금액을 공제해 주는 제도를 말합니다. 월세 소득공제 조건에 충족되는 경우에 냈던 세금 중 10%가량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물가가 오르고 주택 월세 및 전세까지 오르는 상황에서 월세 소득공제는 좋은 정책입니다.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여건이 된다면 반드시 신청하여 최대 72만 원까지 환급을 받을 수 있으니 신청 대상 및 조건을 확인하여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세액 공제 신청 대상과 대상 금액.

  • 연봉 7,000만원 이하의 직장인.
  • 국민주택규모 85제곱미터 이하의 주택 거주자.
  • 본인 명의 무주택 세대주.
  • 주민등록상 주소지와 임대차 계약서 주소지가 동일한 경우.

 

월세 세액 공제에 대한 대상 금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 연봉 5,500만 원 미만 : 공제율 12% 90만 원 한도 o 연봉 5,500만 원 ~ 7,000만 원 이하 : 공제율 10% 75만 원 한도

연봉이 5,500만 원인 근로자의 경우 50만 원의 월세를 12달간 냈을경우 72만 원의 월세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연봉이 7,000만 원의 근로자는 50만 원의 월세를 12달간 냈을 경우 60만 원의 월세 소득공제가 있습니다.

 

 

 

 

3. 월세 소득공제 신청.

  1. 현 주소지 관할 세무서로 우편 발송을 합니다.
  2. 현주소지 관할 세무서에 직접 방문신청을 합니다.

월세 소득공제 준비서류는 주민등록등본, 임대차 계약서, 월세 이체 기록이 필요합니다. 오프라인으로 처리가 어렵다면 온라인을 통하여 국세청 현금 영수증 서비스 홈페이지에서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1. 국세청 홈텍스에서 상담/제보를 클릭합니다.
  2. 현금영수증 민원신고에서 주택임차료 민원신고를 클릭합니다.
  3. 주택임차료 월세 신고하기 내역에서 기본 인적사항과 임대인 정보 계약내용을 입력합니다.
  4. 해당 관련 첨부서류를 업로드하면 됩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