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 첨단산업과 지식

LCD와 OLED 그리고 디스플레이와 삼성의 QLED에 대하여

by vvkgkg%,$# 2023. 1. 2.
728x90

오늘은 LCD와 OLED에 대해 알아보고 디스플레이를 이해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 LCD와 OLED

우리는 매일 아침 눈을 뜨고 눈을 감기전까지 여러가지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게 됩니다. 가장먼저 눈을 떠서 핸드폰을 보게되는데 출근을 하거나 학교에가서도 노트북이나 PC의 모니터 화면을 보게 됩니다. 스마트폰, 노트북, TV, 태블릿 등 우리 주변에는 정말 많은 디스플레이가 존재합니다.

 

디스플레이는 크게 LCD와 OLED로 나뉘어 집니다. 국내에는 삼성디스플레이의 QLED와 OLED가 유명하고 LG디스플레이는 LCD와 OLED가 유명합니다. 국내 2개사가 점유하는 세계 시장도 어마어마할 정도로 국내의 디스플레이 기술력은 정말 뛰어납니다.

 

 

 

 

2. 삼성전자의 차세대 디스플레이.

차세대 디스플레이는 QLED와 OLED가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QLED는 LED를 사용한 퀀텀닷 필름을 붙여 재현율을 높인 디스플레이 입니다. 삼성전자의 QLED는 QLED는 Quantum-dot LED의 약자입니다. 이름은 QLED지만, 사실 구조를 뜯어보면 LCD TV에 가깝습니다.

 

LCD 디스플레이와 구조는 동일하나 LED를 사용한 광원(BLU) 앞에 퀀텀닷 필름을 붙여 색 재현율을 높인 디스플레이가 QLED입니다. 퀀텀닷이란 나노 크기의, 빛이나 전기를 가하면 특정 색의 빛을 내는 반도체 소자입니다. 빛을 내는 광원 앞에 퀀텀닷 필름을 붙이면 RGB 색상을 더욱 또렷하게 만듭니다.

 

QD-OLED는 QD-OLED는 파란 빛을 내는 청색광 OLED를 광원으로 사용해요. 그리고 컬러 필터에는 빨강, 초록색 단자만 담긴 퀀텀닷 필터를 사용하는 차세대 기술입니다. QD-OLED는 색을 더욱 또렷하게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아직 불량률이 높고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와 삼성전자는 공동으로 차세대 디스플레이인 QNED(Quantum-dot Nano Light Emitting Diode)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QNED는 OLED 단자 대신 RGB 색 빛을 방출하는 퀀텀닷을 활용합니다. QNED는 OLED보다 수명도 길고, 변질 가능성도 낮다는 장점이 있지만 다만 기술적 난이도가 높습니다.

 

 

728x90

 

3. LG의 투명 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가 세계에서 유일하게 양산 중인 투명 OLED는 화소 스스로 빛을 내는 OLED의 장점을 극대화한 기술입니다. 기존의 유리창을 대체할 수 있을 만큼 투명도가 높으면서도 얇고 가벼워 모빌리티 외에도 사이니지, 건축, 디지털아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적용되고 있습니다.

 

자발광 디스플레이인 투명 OLED는 투명도를 저해하는 구성 요소들이 필요하지 않아 45%의 높은 투과율을 보여줍니다. OLED의 자발광 방식은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지 않고 픽셀마다 스스로 빛을 내고 제어하기 때문에 빛샘 현상 없이 독립적으로 빛을 제어할 수 있어 매우 좋습니다.

728x90

댓글